Scouter is an APM optimized for developers. Scouter APM 소소한 시리즈 2번째 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couter를 이용한 기본적인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뭔가 Tip 위주의 연재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설치쪽은 좀 자세히 써야겠다..." 라고 생각하며 쓰다가 거의 매뉴얼 스타일로 글이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된 이상 그냥 이대로 쭉~ 진행하고, 향후에 "진정 소소한 시리즈" 를 다시 연재하던지 아니면 유용한 Tip들을 여기에 어떻게든 잘 녹여보던지 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Performance Counter"와 "Object Request" Scouter에는 모니터링 항목을 크게 두가지로 구분합니다. "Performance Counter", 그리고 "Object Request" 입니다. "Performance Counter"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값을 실시간 차트 형태로 보여주며, "Object Request"는 사용자가 특정 성능 정보를 요청하여 조회하는 기능입니다. 그리고 보통 "Performance Counte"r에 포함하기도 하지만, 그 성격이 전혀 다른 특수한 몇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XLog, Active Service EQ 등) 이러한 기능은 조금 복잡한 부분이 있으므로 다른 포스트에서 다루도록 하겠으며 여기서는 기본적인 모니터링 항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상단메뉴에서도 접근이 가능하지만 "Object View"에서 콘텍스트 메뉴에서 접근하는 것이 더 직관적입니다. 1.1 Performance Counter Performance Counter는 시계열 성능메트릭을 의미합니다. Counter View를 Col...
댓글
댓글 쓰기